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몸

작년의 30배 백일해: 증상과 주요 위험 요인, 예방 방법

by 브라보 마이뽀 2024. 7. 4.

최근 기사를 보니 급성 호흡기 감염병인 '백일해'의 확산세가 거셉니다. 100일 동안 기침을 한다는 뜻으로 그만큼 오랫동안 힘들다는 의미입니다.  백일해는 기침, 콧물, 눈물등 가벼운 증상을 시작해 기침이 심하면 구토, 무호흡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본 글에서는 백일해의 증상, 전염 경로, 예방 방법, 진단 및 치료법, 합병증 등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


1.  백일해란 무엇인가?

백일해(Whooping Cough)는 Bordetella pertussis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입니다. 백일해는 전염성이 매우 높으며, 주로 어린이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백일해의 증상

1단계: 콧물, 재채기, 경미한 기침, 미열등이 약 1~2주 걸려 나타남.
2단계: 심하면 기침 및 발작, 호흡곤란, 기침을 하고 나면  '후' 소리를 냄, 4주 이상
3단계: 기침 빈도와 심각도가 점차 줄어들며 회복기간에 접어들며 수주에서 수개월이 지나갈 수 있음

 

3. 백일해의 전염 및 예방

최근 10년간 1~4월 백일해 발병수

           올해 백일해 환자 수는 지난달 24일 기준 총 365명으로 지난해 동기간 환자수 11명과 비교 33.2 증가했다

 

백일해는 주로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밀접한 접촉이 많을 곳에서 전염될 가능성이 큽니다.

● 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 접종입니다.
● 자주 손을 씻어 세균 전파 및 예방
● 기침 시 입을 막고, 휴지를 사용한 후 버림
● 감염된 사람은 증상이 나아질 때까지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함

 

4. 백일해의 진단 및 치료

백일해를 진단하기 위해 의료진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합니다.

진단 방법
● 임상 증상: 기침 소리와 기간 등을 통해 판단
● 검사: 비인두 면봉을 통한 세균 배양 검사 또는 PCR 검사 치료 방법
● 항생제: 백일해 초기 단계에서 효과적. 증상 완화와 전염 방지에 도움
● 지지 치료: 기침 완화제, 충분한 수분 섭취, 휴식 등이 포함됨.

 

5. 백일해의 합병증 및 위험 요인

백일해는 특히 영유아에게 위험하며,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합병증:
● 폐렴: 가장 흔한 합병증
●발작: 기침으로 인한 산소 부족으로 발생 가능
● 뇌 손상: 산소 부족으로 인한 뇌 손상 위험
● 사망: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음

위험 요인:
● 미접종자: 예방 접종을 받지 않은 어린이와 성인
●영유아: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
● 면역 저하자: 면역 체계가 약한 사람들

 

6. 백일해에 대한 오해와 진실

오해 진실
백일해는 어린이에게만 영향을 미친다.
한 번 걸리면 다시 걸리지 않는다.
 예방 접종을 하면 100% 예방할 수 있다.
백일해는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다.
백일해에 한 번 걸렸더라도 면역력이 약해질 수 있어 다시 걸릴 수 있다.
예방 접종은 대부분의 경우 예방할 수 있지만, 일부는 여전히 걸릴 수 있다.

결론

백일해는 매우 전염성이 높은 호흡기 질환으로,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이 가능합니다. 백일해에 올바른 정보와 예방 방법을 숙지하여 나와 가족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백일해의 예방 접종이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절한 건강 관리를 통해 행복한 삶이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