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래 건강 이야기

달려오는 고령화 열차, 우리는 어디로 향하고 있나?

by 브라보 마이뽀 2024. 9. 14.

제1회 한일중 인구포럼에서 "30년 안에 한국의 고령화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에 이룰 것"이라며

"빠른 고령화는 가까운 미래에 사회 전반에 걸쳐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결과들이 나올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우리는 과연 초고령 사회라는 새로운 시대를 맞아 준비가 되어 있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이번 글에서는 같이 고민해 보겠습니다.

 

대한민국, 초고령 사회로 가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1960년대 약 100만 명에 불과했던 고령 인구는 2023년 약 950만 명으로 10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노령화 지수는 167.1로, 이는 65세 이상 인구가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보다 약 1.67배 더 많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평균수명은 1970년대 약 62세에서 2023년에는 83.6세로 이런 변화는 대한민국의 고령화 속도가 매우 빠르게 진행시켰습니다. 이 결과 2023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의 약 18.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런 추세로 2025년에는 20.6%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우리나라 인구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이  될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대한민국이 곧 초고령사회에 진입 우리 사회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올 것을 시사합니다. 

 

 

 고령 인구의 급격한 증가는 경제적, 사회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으며, 고령 인구를 부양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2023년 고령화 통계
2023년 기준 고령화 통계

 

두 얼굴의 시계, 빨라지는 한국, 늙어가는 일본

 

출산율 감소와 기대수명 증가라는 시계추는 한국과 일본을 동시에 똑딱거리고 있다. 두 나라 모두 초고령 사회를 향해 빠르게 나아가고 있으며, 인구 고령화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가 되었다.

 

닮은 듯 다른 고령화의 그림자를 가진 한국과 일본은 고령화라는 공통의 문제를 안고 있지만, 그 시작점과 대응 방식은 다릅니다. 일본은 1990년대부터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고령 사회에 진입했다. 반면, 한국은 늦게 시작했지만 그 속도가 훨씬 빠릅니다.

고령화 사회 진입
본 이미지는 내용과 관련 없음

 

일본, 고령화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

일본은 오랜 기간 고령화 문제를 겪어오면서 노인 고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해 왔습니다. 그 결과, 65세 이상 고용률이 25%를 넘어서며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60세에서 64세 사이의 고용률은 2021년 기준 71%에 달했습니다. 

 

한국, 뒤늦은 숙제를 풀어야 하는 과제

반면 한국은 일본보다 늦게 고령화 문제에 직면했지만, 그 심각성은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다. 일본의 경험을 참고하면서도 한국의 상황에 맞는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

 

 

 

늙어가는 대한민국, 미래를 위한 선택: 고령화 시대의 과제와 해결책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는 국가 중 하나입니다. 곧 다가올 초고령 사회는 우리 사회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 고령화가 가져오는 그림자

빠른 고령화는 경제 성장 둔화, 생산 가능 인구 감소, 복지 비용 증가 등 심각한 경제적 문제를 야기합니다. 또한, 지역사회 소멸, 세대 간 갈등 심화, 고독사 증가 등 사회적 문제도 심각하게 대두될 것입니다.

 

√. 한국, 고령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한국 정부는 노인 일자리 창출, 복지 시스템 강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습니다. 고령화 시대를 성공적으로 맞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세대간 소통 강화 와 증진
이미지:ChatGPT

 

○ 노인의 사회 참여 확대: 노인들이 경제 활동에 참여하고 사회생활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 복지 시스템 개편: 고령화에 맞춰 복지 시스템을 개편하고, 지속 가능한 재정 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 고령화 사회에 맞는 새로운 산업과 서비스를 육성해야 합니다.

○ 세대 간 소통 강화: 세대 간 이해와 소통을 증진하고, 사회 통합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글을 마치며...

대한민국은 초고령 사회 진입을 앞두고 경제적, 사회적 변화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는 경제 성장 둔화, 복지 부담 증가, 사회적 갈등 심화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노인의 사회 참여 확대, 복지 시스템 개편,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 세대 간 소통 강화 등이 필요합니다. 고령화는 위기이자 기회입니다. 미래 사회를 대비하고, 모두가 함께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절실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퇴직금, 어디까지 받아봤니? 주요 5개국 퇴직금 시스템 비교

퇴직금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근무한 후 퇴직할 때 받는 금전적인 보상으로, 각 나라의 법과 제도에 따라 다르게 운영됩니다. 세계 각국은 자국의 경제와 노동시장에 맞춰 다양한 방식으로 퇴직

mybbotistory.com